AI의 등장으로 변화하는 채용 면접의 미래
채용 과정은 누구에게나 불편한 절차로, 기술 면접은 특히 부담스럽다. 최근 몇 년간 인터뷰 방식에 변화를 주기 위한 많은 발전이 있었다. AI의 발전은 기술 면접의 판도를 바꾸어 놓았다. 이제 GitHub Co-pilot과 같은 앱으로 코드 자동 완성이 가능해지면서, 면접자들이 요구되는 코딩 능력도 변화하고 있다.
기술 면접의 기본은 코딩 능력과 컴퓨터 과학 기본기를 평가하는 여러 가지 테스트로 이루어진다. 초기 선별에는 Hackerrank가 흔히 사용되며, 이후 면접에서는 실질적인 코딩 능력이 평가된다. 더 높은 직책을 위한 면접에는 시스템 구축에 대한 능력을 평가하는 아키텍처 및 디자인 인터뷰가 포함된다.
AI는 현재의 컴퓨터 과학 기본기와 코딩 면접의 효과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문제들은 대부분의 경우 AI 모델이 빠르게 해결할 수 있을 만큼 단순하다. 아키텍처 면접은 당분간 유효할 수 있지만, 다소 시간이 지나면 AI의 영향을 피해갈 수 없게 될 것이다.
향후 선택지로써 기업들은 원격 면접을 중단하거나, Pearson Vue와 같은 감독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요구할 수 있다. 또는 면접의 성격을 바꾸어 AI 활용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합리적인 대안으로는 AI를 활용한 원격 평가와, 더 심층적인 대면 면접을 결합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어플리케이션 구축, 확장, 유지 보수를 평가하는 더 길고 포괄적인 인터뷰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딩 이해도와 AI 도구를 활용한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 면접의 성격은 급격하게 변화할 것이다. AI의 도움으로 면접을 통과할 수 있을지라도 실제 업무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인턴, 졸업생, 초급 엔지니어들은 고급 기술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더 큰 도전에 직면할 것이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